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5년 3월 schd, qqqm, voo 배당

by 김서종 2025. 4. 2.
반응형

키움증권은 왜 이렇게 배당을 늦게 지급하는 걸까 의문이다. 하루 이틀이 긴 투자 인생에서 큰 지체는 아니지만 한 달마다 투자하는 입장에서는 하루에도 크게 등락하는 주가와 환율을 볼 때 아쉽다. 최고 높은 환율일 때 환전을 했을 수도 있고, 주가가 최고 낮을 때 매수를 했을 수도 있다. 하지만 역시 길게 보면 아무것도 아니긴 하다.

25년 1분기 schd, qqqm, voo의 배당을 모두 받았다. voo는 어쩌다 보니 매수하게 됐다. schd의 비중을 줄이고 voo를 살지, schd의 비중을 늘리고 qqqm을 살지 선택하는 데 있어서 500개나 되는 분산투자를 할 필요는 없지 않나 싶어서 voo를 두 주 사놓고 포기했다.

언젠가 뭐든 매도를 해야 할 텐데 가능하면 qqqm의 비중을 늘리고 그게 수익을 좀 남길 수 있으면 좋겠다 싶어서 결국 schd와 qqqm만 매수하기로 했다. 그래서 voo가 2주이고 qqqm도 소액인데 매수할 때마다 나스닥 지수가 고점 같고 schd는 저점 같아서 schd만 매수하다 보니 포트폴리오가 처음 계획했던 것에서 많이 벗어나있다. 이번 매수는 qqqm을 많이 매수하려고 한다.

삼성증권에서는 qqqm과 schd 배당을 합쳐서 312달러다. 얘네는 도대체 배당을 쉽게 볼 수 있는 방법이 없다. 거래내역에서 입금한 내역과 세금 출금한 내역을 직접 계산해서 봐야 한다. 너무 불편하다.

키움증권에서는 voo 배당을 3.08달러, schd 배당을 339.21달러, qqqm 배당을 3.51달러 받았다. 총배당금은 345달러다. 세금이 무려 60달러가 나가는 게 충격이다. 이래서 절세계좌를 이용하는 것인가 싶지만 최근에 미국주식 etf 주가 오류가 나서 개인들이 정상가격보다 비싼 가격으로 매수가 체결됐다지. 하고 싶은 말은 많지만 하지 않는다.

신한금융투자에서는 qqqm 배당 2.97달러를 받았다.

이렇게 25년 1분기 총배당금은 660달러 정도 된다. 요즘 환율이 너무 높아서 원화로 계산하는 것은 의미 없어 보인다. 나의 배당금 목표는 1년 3,650달러다. 하루 10달러 배당이 내 목표인에 지금 1년 예상배당인 2,000달러가 좀 넘고 그렇다.

아무튼 더 열심히 해야지. 일단 오늘 100만 원 이체해서 환전해 놨고 차례로 600만 원을 더 환전한 후에 배당금을 합쳐서 qqqm매수를 하자.

그런데 이왕 달러로 들어온 거 레버리지 들어가서 저번 손해를 만회하고 싶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