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QQQ12 25년 7월 400만 원 매수 투자금 1억 2천 600만 원 7월 매수 완료.발매수 해버린듯.좋은 가격에 살수 있었는데잠시 주춤한 사이에 크게 왔다갔다한다역시 그냥 시장가에 매수하고일찍 자는게 낫다.schd 4주 추가,qqqm 16주 추가 했다.합계 schd는 3663개, qqqm이 26주다총 평가금은 약 1억 4천 600만 원정도 된다.총 투자금은 1억 2천 600만 원인데배당 받은 금원을 모두 재투자했고배당금은 투자금에 포함하지 않았다.정확히 어떻개 계산하는게 맞는지 잘 모르겠는게이번에도 내가 투자한 금액은 400만 원인데6월 배당을 100만 원 받아서실제로는 500만 원이 들어간거긴 하다.아무튼 이사실을 잊지 말아야지그럼 총 수익은 약 2000만 원정도 되는데기간 생각하면 큰돈은 아니다 물로 돈은 언제나옳다.배당으로 매월 약 40만 원 안되게 받는 포트폴리오.. 2025. 7. 10. 25년 6월 배당 schd, qqqm 투자금 약 1억 2천만 원 삼성증권 325달러키움증권 486달러합계 811달러.현재 환율로 약 110만원 2025. 7. 2. 25년 5월 300만 원 매수 투자금 1억 1천 900만 원 포트폴리오가 굉장히 깔끔해졌다. qqqm이 계속 오르는 것이 너무 열받아서 다 정리해 버렸다. 역사적으로 이런 움직임은 드물고 적당히 조정된 가격에 매수하려고 투자금을 준비했는데 기회가 안 왔다.가격이 떨어지지 않아서 매수 기회가 오지 않는다는것은 혹시 매도 기회는 아닐까라는 생각이 들었다. 오늘만 해도 사람들과 나스닥 비중을 늘려가자는 얘기를했는데 10퍼센트 정도 있던 qqqm을 모두 정리하고 모두 schd를 들어갔다.schd는 에너지 섹터 비중이 높아지면서 주가가 빌빌 기고 있다. 성장주 성과가 너무 좋은 시즌이라 상대적으로 소외된 느낌이다. 하지만 투자는 외면받을 때 들어가고 모두가 열광할 때 빠져야 하는 법이다. 그렇지만 이런 생각을 하면서도 막상 실제로 투자를 하는 것은 쉽지 않고 또 그런 투자.. 2025. 5. 15. 25년 4월 700만 원 매수 투자금 1억 1천 600만 원 4월 매수금액 700만원을 모두 매수했다.qqqm, schd 적당히 나눠서 매수했다. 앞으로 qqqm과 schd 두개중에 내 기준 저점인 것을 하나 정해서 매월 매수하기로 한다.마지막 300만 원은 모두 schd 매수총 투자금은 1억 1천 600만 원이다. 2025. 4. 11. 25년 4월 qqqm 7주, schd 1주 추가 매수 총 투자금 1억 1천 4월 투자금은 700만원일 예정인데 달러가 너무 비싸서 환율을 주저하던 와중이었고 주가가 계속 떨어지는 유혹을 참지 못하고 먼저 환전한 100만원으로 qqqm 7주와 schd 1주를 매수했다.장전 주문으로 한껏 낮은 가격에 매수를 했는데 현시점 더 떨어진 상황이라 마음 아프지만 길게 보자. 내일 환율이 또 떨어지면 환전해서 계속해서 매수할 예정이다.총 투자금은 1억 1천만 원이고 평가금은 위와 같다. 25년 1분기 배당을 모두 재투자했다. 2025. 4. 3. 25년 3월 schd, qqqm, voo 배당 키움증권은 왜 이렇게 배당을 늦게 지급하는 걸까 의문이다. 하루 이틀이 긴 투자 인생에서 큰 지체는 아니지만 한 달마다 투자하는 입장에서는 하루에도 크게 등락하는 주가와 환율을 볼 때 아쉽다. 최고 높은 환율일 때 환전을 했을 수도 있고, 주가가 최고 낮을 때 매수를 했을 수도 있다. 하지만 역시 길게 보면 아무것도 아니긴 하다.25년 1분기 schd, qqqm, voo의 배당을 모두 받았다. voo는 어쩌다 보니 매수하게 됐다. schd의 비중을 줄이고 voo를 살지, schd의 비중을 늘리고 qqqm을 살지 선택하는 데 있어서 500개나 되는 분산투자를 할 필요는 없지 않나 싶어서 voo를 두 주 사놓고 포기했다. 언젠가 뭐든 매도를 해야 할 텐데 가능하면 qqqm의 비중을 늘리고 그게 수익을 좀 남.. 2025. 4. 2. 이전 1 2 다음 반응형